-2010년 6월 24일 이데일리
관련 포스팅 * 해외쇼핑몰 가격 비교하다 디카 구입 못한 사연클릭
관련 포스팅 * 해외쇼핑몰 가격 비교하다 디카 구입 못한 사연클릭
[서민을 위한 최저생계비는 계속하여 하락하고 있습니다]
'집 있는 가난한 자'라는 말같지도 않은 언어의 유희로 보호받고 배려의 대상이 되어야 할 계층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흐려지고 있는 것입니다. 강남에 집이 한채 있는데 생활비가 없다면 그 집을 팔아서 은행에 넣고 이자로 생활비를 쓰세요 라고 말하는 경제 장관이 없었기에 우리나라의 서민경제는 보장받거나 배려 받지 못했던 것입니다. 집 가진 사람들의 불쌍한 현실을 알고 있냐고 버럭하던 그 분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 2010년 8월 1일 한국경제
윤증현 장관 “현금 수십조 있는 대기업, 중기에 어음결제” - 2010년 7월 31일 한국경제
- 2010년 7월 30일 한겨레21
'까칠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세를 주장하는 부자, 기부를 말하는 억만장자 (19) | 2010.08.05 |
---|---|
싸이월드 탈퇴하려다가, 음원 때문에 계속하는 사연 (4) | 2010.08.04 |
아나운서협회 성희롱에 발끈, 보복인사에는 침묵 (11) | 2010.08.03 |
기사로 읽어보는 하반기 서민경제 전망 (5) | 2010.08.02 |
KBS파업은 끝났는데 보복인사로 새로운 불씨 (5) | 2010.07.31 |
7.28 재보궐선거, 국회를 가지고 노는 민심 (5) | 2010.07.29 |
해외쇼핑몰 가격 비교하다 디카 구입 못한 사연 (15) | 2010.07.28 |
2010년 최저생계비를 산출한 방법? (3) | 2010.07.27 |
도대체 무엇때문에 나아진다는 건지 모르겠어요.
저들이 실제로 서민처럼 살아봐야 알까요?
답답하네요~ ^^
체험을 시켜도 잘 모를거예요^^
최저생계비로 밥 먹고 황제같다고 하는 분이 계시는 한...
서민경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현재의 경제가 문제인데
정신 못차리고 투표만 신경쓰는 저 단순함들이
답답할 뿐이네요
실질임금은 그대로 물가는 오르고, 가진 자만 배불리는 더러운 세상이 되고 있죠. 경제구조가 자구 이원화되는데도 물가나 경제에 대한 대책이라는 것이 재벌에게 으름장 놓고.. 달라지는 것이 과연있을런지 언제까지 쇼만 할런지..
눈높이가 맞으실 겁니다.<br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