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처에 들렀다가 점심 식사를 하러 식당에 들어갔습니다. 좀 늦은 식사라 혼자 먹게 되었고, 식당은 한산했습니다. 메뉴는 비도 오고 해서 따뜻한 국물이 있는 순대국을 선택하였구요.
음식을 기다리면서 하염없이 내리는 비를 바라보다 벽에 걸린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포스터를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광우병 파동과 중국산 기생충알 김치 사태 이후 소고기와 김치에 대해서는 약간의 주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빨간줄로 표시한 배추김치는 국내산 배추와 중국산 모두 표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가 다니는 음식점에서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소고기는 미국산, 배추김치 중국산은 잘 찾아보기 힘들었습니다. 나날이 해당 품목의 수입량은 많아진다고 하는데 정작 음식점에서는 많이 보이지 않으니 안심하면서 한편으로는 속고 있는 것은 아닌가 불안하기도 했지요
그런데 위와 같이 배추김치를 국내산과 중국산을 함께 표시한 경우에는 김치를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다행이 음식이 나왔을 때 그 고민은 사라졌구요. ^^
[해당 음식점의 반찬 내용]
배추김치는 아예 반찬에 없더군요. 배추값 폭등이라더니 음식점에서 배추김치 내놓기가 힘들었나 봅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한다면 위의 배추김치 양다리 표시는 당연히 어떤 것이 정답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당연히 원가에서 국내산보다 저렴한 중국산 김치가 식탁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3) 배추김치의 원산지 표시방법
- 가. 국내산 배추를 사용하여 국내에서 배추김치를 조리하여 판매·제공한 경우에는 "배추김치(배추 국내산)"으로 표시합니다.
- [예시] 국내산 배추사용 : 배추김치(배추 국내산)
- 나. 수입산 배추(절인배추 포함)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국내에서 배추김치를 조리하여 판매·제공하는 경우에는 "배추김치(배추 중국산)"로 표시합니다
- [예시] 중국산 배추사용 : 배추김치(배추 중국산)>
- 다. 외국에서 제조·가공한 배추김치를 수입하여 조리하여 판매·제공한 경우 배추김치의 수입국가명을 표시합니다.
- [예시] : 배추김치(중국산)
- 라. 고추가루 등 모든 원료가 국내산인 경우
- [예시] : 배추김치(국내산)
[규정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배추김치 원산지 표시방법]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오랜 고민에서 나온 정책이라기 보다는 급하게 수입하려던 미국산 소고기 때문에 급조된 정책이라는 비난을 많이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이런 식의 애매한 원산지 표시제는 아니 한만 못한 것 같습니다.
정책만 세울 것이 아니라 그 정책들이 잘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이런 식의 규정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행위는 근절되어야 할 것입니다.
'까칠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나 다른 다음(DAUM)과 네이버(NAVER) (6) | 2011.10.20 |
---|---|
TV에서 광고하는 성인용 비타민? (21) | 2010.11.23 |
황당한 신용카드 한도 조정 (26) | 2010.09.19 |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가 무기력한 이유 (37) | 2010.09.11 |
보이스 피싱 사기단 검거 현장 (33) | 2010.09.09 |
고발합니다 부모님을 울려 버린 보이스피싱 (47) | 2010.09.01 |
성희롱을 조장하는 주말 예능프로? (41) | 2010.08.31 |
인사청문회로 본 법치국가와 치법국가의 차이 (21) | 2010.08.27 |
전이글에 대찬성합니다.
한마디로 탁상행정의 표본이라 할수있지요~
대찬성 해주셔서 대 만족입니다.
일터지면 일손이 부족해서 그렇다고 변명이나 하는게 공무원입니다.
할일안하고 빈둥빈둥 철밥통이나 딱고 있는게 공무원입니다.
지금 인원의 1/3이나 1/2로 줄여도 국가돌아갑니다. 공무원 정원 감축해야합니다.
제정만 해놓고 단속같은건 이루어지지 않은 게 많죠
좋은 주말되세요 ^^
유키노 님도 좋은 주말 되시와요~
정확한 표시가 소비자를 우롱하지 않지요.
잘 보고 가요.
넵 감사합니다.
제가 간 곳은 국내산 쌀과 중국산 쌀을 섞었던데 역시 밥맛이 ㅡㅡ;
그런 혼합표시는 정말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것인지
에고..저도 콩 먹고 -_-;; 다 버렸었는데 말이죠;
콩이라,
거의 대부분 중국콩이죠 ㅋ
요즘 식당에서 배추김치 구경하기 힘들죠.
차라리 중국김치를 내 놓은 것 보다는 좋지만 섭섭하네요.
더구나 다른 음식들이 다 원산지를 잘 지키고 있는 것인지 알 수도 없구요. ^^
김치 색깔만 봐도 안다는 분이 계세요 ㅋㅋㅋ
정말 먹거리문제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제대로 하는지 단속도 부족하고, 그냥 안
지켜도 크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니 거싯말로
표기를 하거나 아예 안 하는 곳도 많더라구요..
단속을 한다고 하는데 워낙 준비없이 만들어진 규정이라 ...
대책이 무엇일까요?
정말 공감가네요.
정책을 세워도 실효성있도록 해야 하고 실행이 중요합니다.
실천 없는 정책은 종이와 같습니다.
차라리 수입산으로 써놓으면 좋은데, 아예 안 써놓은 경우는 참 그렇더군요.
어차피 저거 시행될 때, 제대로 되리라고 믿은 사람 한 명도 없었을 겁니다. ^^;;
그런데도 규정만 있으니 더 웃기는 일이죠
공감이 가는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음식점에서 원산지 표기하는거 어차피 안믿습니다.
그냥 포기하고 먹는거죠 ㅎㅎㅎ
네 직장인들은 슬프죠ㅜㅜ
전 저것도 믿지 못하고 그냥 신경도 안씁니다.
아마 열의 다섯은 저거 뻥으로 적어놓은게 많을듯.
구내식당은 아직 김치 나오는데,급 요새 나물반찬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아요.
배추값이 금값이 맞나 봅니다.
그렇죠? 알면서 속아준다는 게 맞는 표현인것 같아요
요즘 식위생에 대한 개인적인 검열 활동을 높이고 있답니다.ㅋㅋㅋ
어젠 찜닭을 먹기 위해 수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모아 무려 1시간 여만에 장소를 결정햇어요....ㅠㅠ. 정말 피곤하긴 해요. 이것저것 다 따지고 살기엔 시간도 부족하고요.
그러므로 음식점에서도 각자 자신들의 식위생에 자기검열을 강화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지요^^
비밀댓글입니다
네 문제가 많지요
더욱이 비싼 곳에서도 그런 속이는 행동을 한다는 것은 더큰 문제죠
마트에 가면 미국산 쇠고기는 원산지 표시를 찾기도 힘들더군요.
깨알만하게 쓰여져 있어서.
깨알만해도 쓰여있으면 다행입니다.
얼마전에는 이마트가 미국산 쇠고기를 한우라고 속이고 팔았으니까요.
마트도 다 표시는 하는데
믿음이 100%로 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표시만 해놓고 아닌 경우도 많아서
미덥지가 않죠 ;;
맞습니다. 미덥지가 않아서 찜찜해요
저는 식당 김치는 당연히 중국산이려니 하고 먹는데요... ^^;
믿기도 그렇고 안 믿기도 그렇고... 오히려 남은 음식 재생하지 않나에 신경이 더 쓰이더군요...
식품위생에 대해 너무나 많은 신뢰를 잃은 것 같아요
올려주신 내용과 달리... 국밥에 눈이 멀어버렸습니다...
한그릇 후루룩 말아먹고 싶은 마음이 너무 크군요..;;; 죄송합니다...;;;
아프리카 TV에는 시작한지 3달 밖에 안되었지만 하루 평균 시청자 수가 5천명에 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