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이버는 정치적으로 누구편일까? 네이버 끊임없는 구설수에 시달려왔습니다.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못하고 검색어 등을 조작함으로서 여론을 친보수적으로 이끌어간다구요.. 그런데 내부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비전문가들이 사람들이 알 수가 없고, 여러차례 전문적인 답변으로 자신들은 중립적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뉴스캐스트에 올라온 글을 보면, 네이버가 정치적으로 어떤 성향인지 잘 알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검색 사이트가 방문자의 흥미를 끌기 위해 인위적으로 뉴스 기사를 네거티브적으로 올리는 것은 옳지 않다] 뉴스캐스트는 네이버 검색창 밑에 뜨는 소식란으로 네이버에 들어오는 많은 사람들의 눈길과 클릭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미디어 공간입니다 그래서 신문사들이 여기에 자신들의 기사를 올리려고 혈안이 되어 있고, 아무리 좋은 기사도 네이버 메.. 더보기
안철수 원장의 서울 시장 선거를 위한 편지 안철수 원장님이 서울 시장 선거 이틀 앞두고 박원순 후보에게 자필 편지를 전달했다고 합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고 추가하여 덧붙일 것도 뺄 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더더욱 편지에 멘트를 달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이것이 이번 선거입니다. 1955년 12월 1일, 목요일이었습니다. 미국 앨라배마 주의 로자 파크스라는 한 흑인여성이 퇴근길 버스에 올랐습니다. 잠시 후 비좁은 버스에 백인 승객이 오르자 버스 기사는 그녀에게 자리를 양보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그녀는 이를 거부했고 체포돼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하지만 이 작은 움직임은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미국 흑인 인권운동에 큰 전환점이 됐습니다. 흑인에게 법적 참정권이 주어진 것은 1870년이었지만 흑인이 백인과 함께 버스를 타는 데는 그로부터 .. 더보기
너무나 다른 다음(DAUM)과 네이버(NAVER) 10월 20일 오후 1시가 좀 넘어서 점심의 포만감을 잊으려고 인터넷 서핑을 시작했습니다. 민감한 정치 사안이 올라오면 검색 조작이다 뭐다 시끄러운 네이버의 검색 순위와 다음의 그것이 너무나 달라 비교하여 올려봅니다. 가장 재미있는 것은 네이버와 다음의 검색 1위가 상대방의 순위에는 전혀 올라오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다음(daum)은 나경원 피부클리닉이 1등, 네이버는 수원 알시드 가 각각 1위 입니다. 다음(daum)은 현재 정치적 이슈가 검색어 순위에 오르고, 네이버 한테는 미안한 말이지만, 축구 난투국이라는 시시껄렁한 이슈가 검색어 1위에 올랐습니다. 평소 보수적 성향을 보인다는 네이버의 정체성이 여실히 들어나는 대목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이 제가 네이버를 잘 안하는 이유가 되겠지요. 뭐.. 더보기
내츄로바이오텍 중국 친환경 시장 진출 한국의 바이오기업 내츄로바이오텍이 중국 기업과 수출 계약을 맺었네요^^ 천연 모기 기피제 모스제로와 집먼지 진드기 퇴치제 알러제로를 생산하는 내츄로바이오텍은 서울대 농생대 벤처 기업으로 친환경 천연물 시장을 선도해 왔습니다. 이번 중국과의 수출 계약은 아래 기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중국 기업의 러브콜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렇게 힘들다는 중국 위생부 허가를 중국 기업이 직접 신청하고 받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는 이유가 각종 인허가와 절차의 까다로움인데 이것을 중국 기업이 직접 한다는 것은 그만큼 메리트가 크다는 이야기 겠지요 친환경 영유아 제품으로 중국시장 공략- 클릭 현재는 한국이 한류붐으로 화장품 등이 중국에서 크게 히트 하고 있지만 그런 거품이 사라지고 난 뒤.. 더보기
황당한 모기기피제 무허가 판정 평소 모기에 잘 물리는 체질이라 여름이면 모기약을 달고 살았습니다. 그런데 모기약으로 사용되는 원료가 몸에 해롭고 어떤 것은 발암 물질이라 하여 이왕이면 친환경 유기농 제품을 사용해 왔습니다 나름 깐깐한 소비를 한다고 자부하는 편인데 황당한 기사가 올라오더군요 제가 애지중지하며 주변에 권유까지 하던 모스제로가 무허가라는 보도였습니다. 그런데 기사를 자세히 읽어 보면 왜 무허가이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자세히 나오지 않습니다. 제가 아는 바로는 DEET라는 발암물질 대신 천연 회향으로 만들었다는 모스제로가 몸에 안전하고 사용도 간편했는데 이것이 무허가라는 것은 언뜻 이해하기 힘든 일이었습니다. 공산품으로 다 허가를 받아서 팔고 있을 텐데 어떤 기관에서 이런 말도 안되는 보도를 냈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그리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