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빵왕 김탁구 중국에서도 성공할 이유 2가지 김탁구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어떤 분이 '제빵왕 김탁구' 보다 '탁구왕 김제빵'은 어떠냐고 우스게 소리를 하시던데 하여튼 재미있습니다. 중국에서 한류열풍이 불고 있고 한국 드라마 역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얼마 전 중국에 갔을 때 대장금을 하고 있던데 장금이의 다소곳한 연기를 중국어 더빙으로 들으니 장금이가 많이 얌전해 보이지는 않더라구요. 이것이 문화가 주는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 드라마가 해외 나가서 선전한다는 것은 기분 좋은 일입니다. 그러면 차세대 중국 히트 드라마는 무엇이 있을까.. 전 단연코 제빵왕 김탁구라고 생각합니다. 왜냐구요 아래에 사진을 보시면 짐작하실 것입니다 1. 제빵왕 : 중국 사람들 빵에 대한 관심 높습니다. 중국은 현재 엄청난 빵(?)의 인기가 있습니다. 이제 막 서구.. 더보기
7.28 재보궐선거, 국회를 가지고 노는 민심 6.2지방선거는 천안함 사태로 안보위기의식이 촉발되면서 여당의 압승이 점쳐졌었다. 하지만 뚜겅을 열어보니 도리어 여당의 참패이며, 조금만 더 방심했더라면 서울 시장자리까지 야당이 차지할 뻔 했었다. 결국 여당 당대표가 물러나고 개각 어쩌구 하더니 몇명 바뀐것은 같고, 세종시 수정안을 국회에서 부결되어 원안 추진이 확정되었다. 오만한 정권의 심판, 여당에 대한 견제 등 여러가지 논평이 나왔지만, 선거 개표 결과가 그 어떤 쇼보다도 재미있었던 한편의 영화 같았다. [6.2지방 선거 결과, 출처: 다음백과] 정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많은 고민거리를 주었을 것이 분명하다. 이것이 정말로 민심의 뜻인가? 아니길 바랬겠지만 결국 대의 민주정치에서 의원수, 의석수가 다수결의 머릿수를 채우기에 생각의 문제가 아.. 더보기
해외쇼핑몰 가격 비교하다 디카 구입 못한 사연 디카가 하나 필요했습니다. 얼마전에 장만한 캠코더는 3개월을 써보니 휴대성과 스냅샷에서 저한테 낮은 점수를 받게 되었습니다. 더 이상 함께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포장을 다시 싸고 이제 새로운 디카를 알아보기 했습니다. 제가 영화를 찍을 것도 아닌데 캠코더 위주의 장비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생각과 스마트폰 디카가 무척 훌륭하기는 하지만 접사와 어두운 곳에서 촬영이 영~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무엇을 산다는 것은 기쁜 일 입니다. 구입 후 취약해질 주머니 사정을 생각하면 위축될 것이 뻔하지만 일단 살 때는 행복한 마음으로 구입을 해야겠죠. 오프샵에서 대강 아이쇼핑을 하고 몇가지 대상을 선정 후 인터넷 앞에 앉았습니다. 아직은 오프샵에서 사기보다 인터넷 쇼핑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용산 아저씨.. 더보기
블로그 하루 방문자수 10만명, 얻은 것과 잃은 것 잠시 자리를 비우고 외근을 다녀왔더니 내 블로그가 스타의 반열에 올라있었다. 하루 페이지뷰 10만, 5개월 정도 운영해 왔던 누적 방문자수에 버금가고 있었다. 어디에 이야기 하기도 벌쭘하고 실시간으로 방문자 수를 관찰해 보니 이것은 유입경로 체크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냥 실시간으로 몇백, 몇천 단위로 올라가는 방문자수를 한동안 멍하니 쳐다만만 보고 있었다. [2010년 7월 16일 아마도 내 블로그 역사에 길이 남을 특별한 날이 될 것 같다. 출처: 다음메인캡처] 이렇게 페이지뷰가 갑자기 뛰어오른 이유는 포탈사이트 메인에 베스트글이 동시에 두개 걸린 것이 주요한 이유였다. 하루 한개도 어렵다는 베스트글이 이날 따라 두개가 올랐고 전혀 다른 카테고리였기에 중복되지 않고 각 카테고리에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더보기
2010년 최저생계비를 산출한 방법? 사회의 빈곤층이 많아지고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커진다고 많은 사람들이 걱정을 합니다. 4대강과 대규모 뉴타운 사업이 결국은 서민과 나라를 위한 사업이었다는 주장에 대한 평가는 점점 묘연해지고 있습니다. 최저생계비 [minimum cost of living] 최저임금결정을 위한 최저생계비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재판소가 1906년에 선언한 '하비스터 기준'(Harvester Standard)에 의하면 '문화사회에서 생활하는 인간으로서 생각해야 할 평균노동자의 통상의 필요'를 고려하고 '합리적 오락'이 가능한 5인 가족의 미숙련노동에 소요되는 최저수준의 생계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 다음백과] 그리고 쥐꼬리만한 최저생계비 예산에 대한 많고 적음보다 그것을 어떤 고민과 무엇에 근거해서 산출해 냈는지도 궁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