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패션브랜드 매장 이용 시 주의할 점 요즘 패션계에 일대 지각 변동이 있습니다. SPA 방식의 유니클로, 자라. H&M 등이 품질은 명품과 대등하고 가격은 중저가를 표방하며 우리나라에서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여름 바캉스 시즌을 맞아 세일 행사를 하고 있어서 지나가다 둘러 보았습니다. SPA: SPA는 '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로 자사의 기획브랜드 상품을 직접 제조하여 유통까지 하는 전문 소매점을 의미한다. SPA는 제조사가 정책 결정의 주체가 되어 대량생산 방식을 통해 효율성을 추구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유통 단계를 축소시켜 저렴한 가격에 빠른 상품 회전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킨다. 과거 의류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여러 업체들이 협력하여 상품 공급을 공급하.. 더보기
싸이월드 탈퇴하려다가, 음원 때문에 계속하는 사연 요즘 페이스북이 연일 화제입니다. 아무래도 전세계 인구의 5분의 1이 영어권인지라 영어기반 인터넷 서비스들이 강세를 띠는 당연한 것 같습니다. 미국에 페이스북이 있으면 한국에는 싸이월드가 있었죠. 싸이월드 정말 강력한 마이크로 블로그 기능을 가지고 절대적인 인기를 구가하였는데 엠파스, 이글루 등등 네이트가 거대해지면서 싸이월드의 존재감은 줄어든 것 같습니다. [문제가 되었던 네이트 '개인정보취급방침과 철회'] 일단 저만 하여도 싸이월드 안 한지 몇년은 지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네이트에서 'MAC주소'와 '컴퓨터 이름'을 퍼간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이것이 이슈화가 되면서 이참에 싸이월드도 탈퇴해야 겠다는 생각을 먹고 싸이월드 문 닫을 준비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덜컹 마음에 걸리는 것이 예전에 사다놓.. 더보기
전통 떡볶이vs프렌차이즈 떡볶이 누가 살아남을까? 다음의 글을 '맛집'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우리네 길거리 음식들이 프렌차이즈 매장형태로 변해가는 것에 대해 나름의 생각을 적어본 것입니다. 혹시나 맛집 정보를 얻으려고 들어오셨다면 스크롤의 압박과 약간의 실망을 가질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요즘 음식점이나 기타 매장들이 생기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이 간판입니다. 그런데 새로 생기는 가게들의 간판을 자세히 보시면 대부분은 "가맹점 문의'나 '체인점 문의' 알림 문구가 꼭 들어갑니다. 언제부터 이런 체인점 문화가 생겨났는지 모르겠지만 변두리 조그만 분식점이 생겨도 간판에 '가맹점 문의' 부터 챙긴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창업하는 분들이 정작 가게가 성공하기 위한 '맛에 대한 연구'와 ''손님에 대한 서비스'에 관심을.. 더보기
아나운서협회 성희롱에 발끈, 보복인사에는 침묵  8월 2일 한국 아나운서 협회가 국회를 항의 방문했다고 합니다. 강용석 의원의 성희롱 발언에 대해 국회 윤리특별위원장에게 (한나라당 정갑윤 의원) 제명을 거듭 요구하기 위한 방문이랍니다. 7.28 선거가 한나라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함량미달 국회의원에 대한 이슈가 덮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시점에 언론인들이 연합하여 다시금 경각심을 고취시키는 것은 환영할 일입니다. [국회를 방문한 아나운서협회 회장단 : 오마이 뉴스, 남소연 기자] 그런데 이왕 이렇게 단결된 모습을 보인다면 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만으로 보복인사를 당한 아나운서에 대한 동료의식은 왜 발휘되지 않는지 궁금해집니다. 강용석의원으로부터 당한 '아나운서' 전체의 명예 실추는 당사자들에게는 치욕적이었겠죠. 아나운서라는 언론인으로서 자부심과 긍지가.. 더보기
기사로 읽어보는 하반기 서민경제 전망 이제 2010년이 반하고도 한달이 지났습니다. 여름 휴가 보내고 8월 한달 보내면 9월에는 이른 추석연휴가 있고 그러다 보면 아듀 2010 년의 구세군 종소리가 울려 퍼질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서민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던 본격적인 하반기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래 기사를 보면 일단 분위기 아주 좋습니다. 무역 7달만에…1년 ‘장사’ 다했다- 2010년 8월 1일 한겨레 신문 2010년 실질 GDP 1000조 돌파 예상 한국 경제규모 15년만에 倍 껑충 - 2010년 8월 1일 국민일보 (하반기 경제운용)의료비, 교육비 절감..서민부담 경감 -2010년 6월 24일 이데일리 하반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말은 반복학습의 효과가 커서 작년인지 올해인지 구분조차 안되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기사를 검색.. 더보기